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

개인용 소형 호텔 공간 ‘슬립 박스(SleepBox) 7,000달러를 내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소형 호텔 공간 ‘슬립 박스(SleepBox)'를 구매할 수 있다. 구미가 당기기는 하지만 저렴한 가격은 아니다. 그럼에도 자신만의 편안하고 독립적인 공간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설치할 만하다. 슬립 박스 개념은 지난 3월 일반인들에게 선을 보였다. 최초의 슬립 박스가 도입된 곳은 모스코바에 있는 한 공항으로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2012년이 되면 여러 국가의 국제공항에서 더 많은 슬립 박스를 보게 될 것이다. 슬립 박스는 (가로)2.5 * (세로)1.6 * (높이)2.5미터 또는 대략 (가로)98 * (세로)63 * (높이)98인치 크기로 전체 높이는 3미터(대략 118인치)이다. 침대는 하나부터 세 개까지 선택 조합이 가능하다. 원래 슬립 박스 콘셉트는.. 더보기
농촌 폐교 활용 ,폐교 임대,폐교 구입정보~ >> 폐교의 대부및 매각방침이 결정된면 시도교육청에 30일이상 공고 또는 일간지에 게재. 지역 교육청 홈페이지나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전자처분시스템인 온비드에 게제된 공고를 통해 원하는 폐교의 위치와 현황 파악한뒤 현장답사 참고사이트 폐교 검색 사이트 검색창에서 폐교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폐교,압류, 국유, 공유재산, 부동산, 불용물품 인터넷 공매, 주차장, 학교매점 등 임대 안내. 온비드 www.onbid.co.kr/ 더보기
알아 두면 좋은 건축도면기호 알아 두면 좋은 건축도면기호 준용하다(遵用--) [동사] 그대로 좇아서 쓰다. 더보기
부동산을 구입할 때 내는 세금은? ■ 부동산을 구입할 때 내는 세금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면 취득세(2%)와 등록세(3%), 그리고 등록세의 20%에 해당하는 교육세와 취득세의 10%에 해당하는 농어촌특별세를 부담해야 합니다. 결국 부동산을 구입하는 사람은 부동산의 과세시가표준액(또는 실거래가격)의 5.8%에 달하는 세금을 부담해야 하며, 여기에 국민주택채권을 별도로 부담해야 하므로, 부동산투자자는 반드시 사전에 세금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합니다. 본 강좌에서는 부동산을 구입할 때 각각의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고 그 세율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사항을 설명합니다. 1. 취득세 취득세는 부동산을 매매나 교환 방식으로 구입했거나 상속이나 증여 또는 기부를 받은 경우, 건물을 건축(신축 및 증축, 개축)한 경우 및 토지의 지목을 사실상 변경함으.. 더보기
전원주택 집짓기 불가능한 땅 전원주택 신축이 불가능한 땅이란 설명하기 대단히 곤란하다. 불가능하다기 보다 오히려 기피대상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도 정확한 표현이 되지 못한다. 일반인이 지을 수 없는 농업진흥지역이나 농업보호구역에 농민으 버젓이 집을 지을 수 있고 또 일반인의 관점에서 보면 도저히 들어설 수 없는 곳에 버젓이 아파트,전원주택이나 펜션이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맹지라도 이웃의 땅에 토지이용승락을 받으면 사도를 내어 집을 지을 수 있다. 또 지금은 불가능하나 주변지역이 개발됨으로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히 풀리는 경우도 많다. *공법상 이용제한이 많은 땅 1. 농업진흥지역 2. 보전산지지역 3. 자연환경보전지역 4. 공원지역 5. 문화재 보호구역 6. 수자원보호구역 7. 군사보호구역 8. 그린벨트구.. 더보기
천창~~밤하늘에 떠 있는 별을 감상할 수 있는 매력적인 아이템 은 같은 크기의 측창에 비해 3배 정도의 채광 효과가 있으며 개구부에 상관없이 벽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밤하늘에 떠 있는 별을 감상할 수 있는 매력적인 아이템으로 주로 전원주택에 적용되고 있다. * 천창의 종류 천창에는 환기시킬 수 있는 것과 고정된 형태가 있다. 환기가 가능한 창은 수동과 전동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지붕창의 형태로는 평형과 돔형, 피라미드형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가 있다. VELUX 사 천창 종류 고정식 550 * 1000 고정식 550 * 1200 전동식 550 * 1200 블라인드식 550 * 1200 재료로는 아크릴이나 플라스틱, 유리를 주로 사용하며, 투명색 또는 채색된 단일 및 이중창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 설계시 유의사항 천창 부분과 천장면 사이.. 더보기
집짓기 Q&A 건축에 필요한 최소 대지면적은? 주택을 짓기 위해서는 해당 토지의 건폐율과 용적률을 확인해야 한다. 확인은‘토지이용계획확인원’을 통해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관리지역인 경우 건폐율 40%, 용적률 80% 기준이 적용된다. 다시말해, 관리지역에 속한 대지의 면적이 100㎡라면, 건축물의 바닥면적은 40㎡, 연면적은 80㎡까지 건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참고로, 자연녹지지역은 20%, 주거지역은 50~60%의 건폐율이 적용된다. 건축이 불가능한 토지? 흔히 말하는‘맹지’에는 건축이 불가능하다. 즉, 해당 토지가 다른 토지들로 둘러싸여 있고, 인접한 도로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다만 지적도 상에는 없지만 실제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현황도로가 있는 경우 해당 토지의 소유주로부터 도로 사용 동의를 얻으면 가능할 .. 더보기
국토계획법상 용도지역 분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시행 2010.12. 1] [법률 제10331호, 2010. 5.31, 타법개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0.11. 2] [대통령령 제22467호, 2010.11. 2, 타법개정] 법 제6조 (국토의 용도 구분) 국토는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 이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용도지역으로 구분한다. 1. 도시지역: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ㆍ정비ㆍ관리ㆍ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2. 관리지역: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