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는 밝고 연한 색을 사용한다. |
|
같은 색상이라도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라 공간을 넓어 보이게도 하고 좁아 보이게도 한다. 밝은 색은 팽창 효과가 있고 어두운 색은 수축하는 느낌을 준다. 따라서 밝고 연한 색이 훨씬 넓어 보이게 하며 어두운 색은 공간을 좁고 답답해 보이게 한다. |
|
|
공간을 들어가 보이게 하는 차가운 느낌의 색을 사용한다. |
|
색상 중에는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과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이 있다. 빨강, 자주, 오렌지, 노랑, 연두 계열의 따뜻한 느낌의 색은 공간을 튀어 나와 보이게 하므로 작은 공간에는 쓰기 어려운 색들이다.
반면 파랑, 보라, 초록 등의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들은 안정감과 함께 공간을 들어가 보이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넓고 시원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는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을 쓰면 공간이 넓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
|
한가지 색이나 비슷한 색으로 전체를 연결시켜준다. |
|
집안에 들어섰을 때 맨처음 눈에 들어오는 것이 색상이다. 여러가지 색이 많은 공간에 들어서면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느껴져 비좁아 보이게 마련이다. 또 가구의 디자인, 모양, 소재가 각각이어도 비좁아 보인다.
반면 가구나 소파, 커튼, 쿠션 등에 사용된 색이 통일감이 있으면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정리된 느낌을 준다. 따라서 한가지 색이나 비슷한 색을 이용해 실내 전체를 연결시켜 주는 느낌으로 꾸며주면, 연속된 공간으로 보여 좁은 공간이 훨씬 넓고 시원해 보인다. |
|
|
가구와 소품의 색으로 악센트를 준다. |
|
좁은 공간일수록 많은 색을 사용하기보다는 제한된 색을 사용해 실내를 꾸면 주어야 한다. 보통 한 공간에 세가지 이상의 색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넓게 보일수 있는 가장 쉽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천장, 바닥, 벽 등은 밝고 연한 색을 사용하되 가구나 커튼, 카펫, 러그, 그림, 쿠션, 조명, 콜렉션에 짙은 색이나 원색을 사용해 악센트를 주면 개성 있는 공간으로 꾸밀 수 있다. |
|
|
벽이나 바닥 등 쉽게 바꿀수 없는 색에 맞춰 배색을 한다. |
|
색상을 계획 할때 꼭 쓰고 싶은 색이 있다거나 벽, 바닥처럼 쉽게 바꿀 수 없는 색이 있을 경우 그 색을 기준으로색상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